본문 바로가기

달탐사

(2)
국제우주정거장(ISS), 인류 최초의 우주 도시 국제우주정거장(ISS, International Space Station)은 인류가 협력하여 만든 가장 큰 우주 거주 시설이다. 지구 상공 약 400km 궤도를 도는 ISS는 일종의 우주 도시로, 여러 나라의 우주인들이 함께 생활하고 연구하는 공간이다. 2000년부터 지금까지 ISS는 단 하루도 비어 있지 않았으며, 생물학·물리학·의학·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. 이 정거장은 단순한 우주 연구소가 아니라, 인류가 우주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상징이기도 하다. 이 글에서는 ISS의 특징과 역할, 그리고 미래의 의미를 살펴본다. 1. ISS의 탄생ISS는 1998년 러시아 모듈 ‘자랴(Zarya)’가 발사되면서 시작되었다. 이후 미국, 유럽, 일본, 캐나다 등 여러 국가가 모듈을 추가..
달의 뒷면에서 드러난 미지의 지형, 음영 속 비밀을 탐구하다 대부분의 사람은 달을 매일 바라보지만, 사실 우리가 보는 것은 항상 같은 면이다. 지구의 중력에 의해 달은 한쪽 면만 지구를 향하게 되어 있으며, 그 반대쪽, 즉 달의 뒷면은 인류가 직접 관측하기 어려운 미지의 영역이었다. 하지만 최근 인공위성과 탐사선 덕분에 달의 뒷면은 점점 더 자세히 드러나고 있다. 특히 태양빛이 닿지 않아 항상 어둡게 보이는 ‘음영 지형’은 지구에서 전혀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. 이 글에서는 달의 뒷면 음영 지형의 특징과 과학적 의미를 분석하며, 우리가 왜 이곳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.1. 달의 뒷면이 특별한 이유달은 조석 고정(Tidal Locking) 때문에 항상 같은 면만 지구를 향한다. 이로 인해 달의 뒷면은 인류가 20세기 중반까지 전혀 볼 수 없는 ..